본문 바로가기
교육/예술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by 서초 이여사 2023. 2. 2.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를 위한 음악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보완치료요법으로서의 음악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를 가진 아이들에게 효과적인 보완 치료법으로 인정받은 음악치료는 1980년대 초 ADHD 아동들을 위한 치료 교육 매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정 증상을 개선하고 주의력, 충동 조절, 감정 조절을 개선하기 위해 음악 활동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음악치료는 약물치료나 행동치료와 같은 증거기반 치료의 대체재는 될 수 없고 보완적 개입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의 특징

정서장애, 정신지체등을 갖고 있는 아동에게 나타나는 흔한 부적응행동이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아동은 과잉행동, 충동, 조기 치료 부족으로 인지, 학습, 행동, 사회적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 비행이나 일탈, 학교 생활 부적응,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 부적응, 비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보통 유아기부터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까지 장기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인격장애, 반사회적 행동, 약물복용이나 심리적 부적응, 성취도나 사회부적응, 신경심리학적 조건 등의 문제가 지속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인격장애, 반사회적 행동이나 약물 복용, 낮은 자존감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악화될 수 있다고 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아동을 위한 치료법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행동수정치료, 아동중심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놀이치료, 개인상담, 부모훈련, 학업보충인지치료, 사회기술훈련 등이 있다.

그중 많이 사용되고 연구되는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이다. 약물치료는 주의력 결핍 행동장애(ADHD) 아동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단기 충동성과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 행동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기대와는 다르게 약물 투여에 따른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인지행동치료 역시 개인의 문제행동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개개인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있다.

 

음악치료의 효과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아동의 경우 작은 자극에도 주의가 분산돼 작업수행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소리  멜로디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는 인지기술 훈련을 통해 선택적 주의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음악 치료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아동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주의력, 집중력, 충동성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