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안정3

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치료 1. 미술을 이용한 심리평가법 미술 치료는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탐구하는 수단으로 예술적 표현과 창조를 사용하는 심리 치료의 한 유형이다. 여러 가지 창작활동을 통하여 정서적인 갈등을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원만하고 안정적이며 창의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내담자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심리평가 중에는 미술을 매체로 이용할 때가 많다. 개인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고 내재화된 경험들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위험행동예측, 약물치료나 다른 보완치료등을 통한 효과를 평가하는 영역에서 많은 기여를 한다. 그림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내면을 반영하기에 이를 투사적 그림치료 라고 하며 내담자는 그림을 그리거나 다양한 미술치료도구를 통해 자신의 심리상태, 인간관계, 사회성, 감정. 행동을 표현.. 2023. 2. 13.
현대사회에서 예술치료가 필요한 이유 1. 현대인들이 겪는 정신적인 어려움과 현황 현대사회에서의 가장 대표적인 정신건강문제는 우울증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가 급변하고 팬데믹을 겪으며 사람들은 무기력해지고 상실감, 불안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현대인들이 흔히 겪는 정신적인 어려움으로는 우울증과 불안장애, 번아웃 증후군등이 있다. 특히 우울증은 지속적인 슬픔, 절망감, 활동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신 건강 장애이다. 우울증의 다른 증상은 수면장애, 만성피로감, 집중력의 감소, 식욕과 체중의 변화, 극단적 행동에 대한 생각이 포함될 수 있다. 우울증은 생물학적, 유전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들의 조합에 의해 발생되며, 일반적인 유발 요인으로 스트레스, 트라우마, 상실감, 급변하는 생활과 삶등이 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의 .. 2023. 2. 12.
식이장애 극복을 위한 음악치료 1. 다이어트와 폭식증 폭식증은 음식을 단기간에 많이 섭취하는 폭식을 반복하는 심각한 섭식 장애이다. 방송매체를 통해 외모지상주의나 날씬함에 대한 사회적 기대심리, 강박증으로 비롯되기도 한다. 폭식증은 거식증과도 성격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폭식증이 있는 사람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음식을 먹고 나서 구토, 설사약 사용, 단식 또는 과도한 운동을 함으로써 폭식증에 대한 죄책감이나 칼로리를 제거하려고 애쓴다. 폭식증은 소화 불량, 전해질 불균형, 영양실조, 구토로 인한 치아손상, 심장 문제의 위험을 포함하여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폭식증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자가 자신의 식습관에 대한 수치심과 죄책감을 느끼고 폭식증인 상태를 숨기거나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만약 .. 2023.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