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존감3

이혼가정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이혼가정의 증가현황과 아동의 정서문제 전 세계적으로 이혼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국내 이혼 가정의 70% 이상은 미성년 자녀가 있다고 하며 이혼에 따르는 다양한 문제 중 자녀문제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혼을 통해 문제점등 갈등이 되는 요인들이 제거되어 아동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매우 놀라 정신적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아 상실감, 불안, 분노, 우울, 걱정, 부끄러움, 죄책감, 자존감 하락등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였으며 거부당한 감정은 신체적으로 위염, 체중변화, 소아야뇨증, 더 나아가 학업부진이나 비행등 일탈행동등을 보이기도 한다. 아동들은 현실적으로 부모나 가정을 변화시킬 힘이 없으며 무기력하게 받아들이고 적응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아동들.. 2023. 3. 7.
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치료 1. 미술을 이용한 심리평가법 미술 치료는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탐구하는 수단으로 예술적 표현과 창조를 사용하는 심리 치료의 한 유형이다. 여러 가지 창작활동을 통하여 정서적인 갈등을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원만하고 안정적이며 창의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내담자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심리평가 중에는 미술을 매체로 이용할 때가 많다. 개인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고 내재화된 경험들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위험행동예측, 약물치료나 다른 보완치료등을 통한 효과를 평가하는 영역에서 많은 기여를 한다. 그림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내면을 반영하기에 이를 투사적 그림치료 라고 하며 내담자는 그림을 그리거나 다양한 미술치료도구를 통해 자신의 심리상태, 인간관계, 사회성, 감정. 행동을 표현.. 2023. 2. 13.
자아존중감과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음악치료 1. 현대사회와 자아존중감의 중요성 빠르게 흘러가는 현대에 개인의 자아존중감(자존감)은 점점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도와 개인의 발달, 변화,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아존중감은 범위가 매우 넓고 자존심과 비슷한 의미로 혼용된다. 또한 자신감, 자존감, 자기 수용, 자아안정감, 자아수용, 긍정적 자아평가, 긍정적 자아정체성, 자기 유능감, 자기 존경 및 자아개념 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자존심과 자아존중감은 엄밀한 의미에서 구별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판단과 평가를 의미한다. 자아개념이 자기 자신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는 개념이라면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의 특성에 대한 가치를 기술하는 개념으로 판단과 평가가 포함된다.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로서 긍정..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