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예술 치료

음악치료의 인본주의적 접근

by 서초 이여사 2023. 3. 9.

 

음악치료의 인본주의적 관점

 

로저스의 인본주의 교육이론

 
인본주의(humanitarianism)의 사전적 의미: 인간의 가치를 주된 관심사로 삼는 사상.
칼 로저스(Carl Ransom Rogers 1902 ~ 1987, 미국의 심리학자)의 인본주의 교육, 내담자, 학생중심의 상담이론은 개인의 경험, 자아개발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이며, 내담자가 본인의 경험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자아 존중감 회복 및 상승, 타인 존중, 개개인의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을 중요시하는 이론이다. 로저스는 "비판적이고 자유로운 대화"로 표현하며, 상담사는 내담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다양한 경험과 관심사에 대해 존중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학습의 열망을 갖게 하는 주체는 상담가가 아닌 내담자 자신이라고 하였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내담자의 경험을 인정하며 다양한 의견에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대응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로저스의 이론에 따르면 상담사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돕고, 내담자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고, 문제를 제기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 진정한 교육은 가르침에서 벗어나게 하고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하며 경쟁, 결과를 드러내기 위한 성과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하였다. 로저스 인본주의 교육은 내담자, 학생의 개인적 자율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잠재력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하는 교육 철학이다. 이는 창의성과 자아실현을 촉진하며,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악치료의 인본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음악치료는 음악을 활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 치료적 접근법이며, 음악을 통해 자기 성찰, 자기 계발, 자존감회복, 타인과의 상호작용, 감정표출 능력을 향상한다. 인본주의 음악치료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인간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이며 상담사와 내담자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인본주의적 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 이전에 음악과 내담자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맞추게 된다. 또한 음악치료적 관점에서는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며 음악을 통해 절정경험을 하게 한다. 로저스는 절정경험을 통해 내담자는 능력을 최상으로 발휘한다고 하였으며 실제로 음악치료 요법 중의 하나인 즉흥연주에서 내담자는 이 경험을 할 수 있다. 인본주의적 음악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중심이 되므로 음악을 통해 잠재력 개발을 하여 창의력을 증진하고, 정신적, 신체적 질병에서 오는 정서적 문제에서 비롯된 상실감으로부터 자기실현의 욕구를 충족하게 된다.
 

인본주의 이론이 음악치료에 미치는 영향

 
인본주의 음악치료에서는 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지시, 평가 위주가 아닌 공감위주의 상담치료를 진행하며 개인이 자유롭게 음악을 만들고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음악치료사가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개인의 잠재력과 창의력을 촉진하여 스스로 깨닫고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댓글